반응형

* 해시 : 임의 입력값을 고정 크기의 출력값으로 변환하는 일방향성(단방향성) 암호화 함수
- 일방향성(One-Way) : 한쪽 방향으로 제작 가능, 반대 방향으로 복구 불가한 암호화 방식으로 비밀번호, 개인정보 등을 암호화 하는데 사용
* 해시 생성 원리
생성 원리 | 내용 |
제산법 | 100으로 나눈 나머지 값을 이용 |
중간 제곱법 | 중간 자리의 숫자를 제곱 처리 |
이동법 | 키 값의 중앙에서 양분하여 이용 |
난수 생성법 | RNG(Random Number Generation) - 난수 생성 프로그램 이용 |
기수 변환법 | |
중첩법 | |
대수적 코딩 | |
자리 재배열 |
* 해시 암호화 안전성 기준 (일방향성 특성)
특성 | 내용 |
역상 저항성 | 해시값(Hash Value)으로 원문 유추 불가능 (ex-Hash(X) = Y -> X 찾기 불가) |
제2 역상 저항성 | 원문과 동일한 해시값의 타 원문 유추 불가능 (ex-Hash(m1) = Hash(m2) -> m2 찾기 불가) |
충돌 저항성 | 동일 해시값을 가진 다른 두 원문 유추 불가능 (ex-Hash(m1) = Hash(m2) -> m1,m2 찾기 불가) |
* MDC (Modification Detection Cryptography) : 키가 존재하지 않는 알고리즘
- 무결성 검증, 비밀번호 암호화 등에 사용
- MD (Message Digest Algorithm)
- SHA (Secure Hash Algorithm)
- LSH (Lightweight Secure Hash)
* MAC (Message Authentication Cryptography) : 키가 존재하는 알고리즘
- 대칭키 기술을 함께 사용하여 해시값을 변경할 수 없도록 하는 방식
- H-MAC (Hash-MAC)
- CBC-MAC
반응형
'Information Security > Cryptography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공개키 기반 구조 (PKI - Public Key Infrastructure) (0) | 2021.01.23 |
---|---|
OTP (One Time Password) (0) | 2021.01.23 |
비대칭키 암호화 (Asymmetric Key Cryptography) (0) | 2021.01.21 |
대칭키 암호화 (Symmetric Key Cryptography) (0) | 2021.01.21 |
암호 알고리즘 보안 강도 (Strength of Cryptographic Algorithm) (0) | 2021.01.21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