* 접근 통제 : 사용자(주체)의 신원을 식별, 대상 정보(객체)에 대한 접근과 사용 수준을 인가(Authorization) 하는 절차
* 접근 통제 원리
구성 요소 | 내용 |
정책 (Policy) | 자원에 접근하는 제한 조건을 정의 |
모델 (Model) | 시스템 보안 요구를 간결하게 표현 |
메커니즘 (Mechanism) | 요청을 규칙에 대응시켜 검사 및 제한 |
* 접근제어 메커니즘의 구성 요소
- ACL : 객체 기준으로 허가받은 대상
- CL : 주체 기준으로 허가받은 접근 가능 권한
- SL : 객체에 부여된 보안 속성 집합
* 접근 통제 정책과 모델 구현의 원칙
원칙 | 내용 |
최소 권한 부여 | 업무 수행에 꼭 필요한 권한만 부여 |
최대 권한의 정책 | 데이터 공유의 장점으로 가용성을 관리 |
직무 분리의 원칙 | 직무별로 권한을 분리 |
* 접근 통제 정책(Policy) : 자원에 접근하는 제한 조건을 정의
1) MAC (Mandatory Access Control) : 주체와 객체에 부과된 보안 레이블(label)을 기반으로 접근통제 수행, 관리자만 정보 자원 분류 설정이 가능
- 보안 등급을 자료마다 개별 설정하는 성향
* MAC 동작 원리
원리 | 분류 |
Read 가능 | 상위 등급 주체 -> 하위 등급 객체 |
Write 가능 | 하위 등급 주체 -> 상위 등급 객체 |
- ex) 군대의 장군은 일반 병사 정보 Read 가능 / 군대의 일반 병사는 장군 정보 Read 불가능
* MAC 구성
사전에 정의된 규칙에 따름 | 규칙 기반 방식 | MLP (Multi Level Policy) | 자동화된 강제적 시행 정책을 따름 |
CBP (Component Based Policy) | 타깃 집합이 다른 타깃들과 분리된 이름의 범주(Category)별로 분류 | ||
관리자 행위 기반에 따름 | 관계 기반 방식 | 시스템 관리자가 직접 통제하는 방식 |
2) DAC (Discretionary Access Control) : 객체의 소유자(소유 그룹)가 신원(신분)에 근거하여 접근 여부를 결정하는 정책
* DAC 분류 : 권한 부여 방식에 따라 분류됨
분류 | 내용 |
신원 기반 방식 | 주체와 객체의 ID 기반 접근 통제 (ex-Unix 시스템의 User/Group/Other) |
사용자 기반 방식 | 객체의 소유자가 접근 권한을 설정 및 변경 |
혼합 방식 | 신원 기반 & 사용자 기반 방식을 동시에 사용 |
3) RBAC (Role Based Access Contorl) : 조직 내 사용자별(직무/직책)에 따라 부여된 권한을 이용하는 방법
- 개별 권한 제어에 대한 한계점을 해결하기 위한 정책으로 R&R (Role and Responsibility - 누구의 일이고 누구의 책임인지)에 대한 정책
- ex) 인사팀에서 JD(Job Description - 직무별 기대 역할을 기술한 것)를 통해 직무를 관리
* RBAC 원칙
원칙 | 내용 |
최소 권한 원칙 (Least Privilege) | 사용상 최소한의 권한을 부여 |
직무 분리 (Seperation of Duty) | 서로간 역할 분리 이후, 각종 조치를 통해 상호 감시적 역할을 수행 |
데이터 추상화 (Data Abstraction) | 역할에 따라 이해 가능한 명령어로 추상화 |
* 접근 통제 모델(Model) : 시스템 보안 요구를 간결하게 표현
1) 벨-라파듈라(Bell-Lapadula) : 다단계 레벨의 기밀성 제공을 위한 접근 통제 모델
- No Read Up, No Wirte Down이 핵심 (권한이 낮은 곳에서 높은 곳으로 역류할 수 없음)
2) 비바 (Biba) : 데이터 무결성 보장을 위한 상업용 접근 통제 모델
- No Read Down, No Write Up이 핵심 (권한이 높은 데이터 무결성 보존, 권한이 낮은 데이터로 잘못된 정보 습득 방지)
3) 클라크 윌슨 (Clark-Wilson - 제한 인터페이스 모델) : 비바 모델의 진화형으로 무결성 보장을 중점으로 상업용으로 제작, 주체의 권한이 아닌, 프로그램 사용을 강제하여 접근하는 모델
'Information Security > Access Control' 카테고리의 다른 글
Router Security (0) | 2021.05.06 |
---|---|
Windows SID (Security Identifier) (0) | 2021.02.28 |
TCP Wrapper (0) | 2021.01.17 |
Windows 접근 구조 및 Local/Remote 인증 (0) | 2021.01.17 |